뉴욕타임즈에서 p-ed contributor로 활동하고 있기도 한,,
나름 북한학 전문가를 자처하는 사람이 쓴 글이다.
지난 금요일까지 NY Times 메인화면에 실려 있었다.
별 생각 없이 읽기 시작했다가
이 사람의 근거 없는 억지논리와 주장에 어이가 없어 이 글을 번역해 올린다.
전세계인들이 읽었을 이 글에 대해 우리는 알 필요가 있다.
부족한 정보와 왜곡된 자기만의 한국에 대한 생각이 마치 진실인냥 글을 쓴 사람이 바로 이곳 우리 땅에서 한국 대학생들을 비웃으며 강의하고 있음을 알고 있어야 하며
이를 계기로 외부의 눈에 비친 우리의 모습에 대해 되돌아보고, 대응할 방법도 찾아봐야 한다.
나는 그 첫번째로 이 교수에게 이메일을 보내볼까 한다. 부산언론인으로 활동해온 사람으로서의 끓어오르는 분노이자 한국 국민으로서의 당연한 논박이다.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든 그 논박을 위한 조언을 부탁드린다.
원문과 함께 올린 나의 번역글을 꼭 읽어주길 바란다.
=>
South Korea’s Collective Shrug
내가 다니는 대학(동서대) 학생 중 한 명이 3월 26일 한국 해선이 가라앉은 그 공격으로 죽임을 당했다. 북한 어뢰가 천안함을 반으로 두동강이 냈을 때는 visual communication 전공인 문영욱 군이 군대에 간지 단 몇 달이 지났을 때였다. 그의 충실한 학우들은 문 군의 가족들이 치를 장례비용을 위해 모금을 했지만, 나는 어떻게 우리 대학 사람들 대부분이 김정일 정권에 어떤 분노도 피력하지 않는지 충격을 받았다.
여기서는 이 같은 분개의 결핍이 대세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문군 외 45 명의 선원을 죽인 그 침몰을 이제 북한의 책임으로 받아들인다. 작은 - 하지만 꽤 상당한 - 소수그룹에서는 정부의 정교한 음모라는 의심이 일고 있다. 거의 대부분 사람들은 한국이 이 불행한 일을 가급적 빨리 잊어버리길 바라는 듯 하다.
군사대응을 위한 지원은 너무 낡아 싸울 수 없을 만큼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이 월요일에 발표한 다소 가벼운 조치 - 남북한 무역의 급격한 측소와 비무장지대 선전전의 재개를 포함한 - 는 광범위한 절망/고통을 불러일으켰다.
북한민들을 비난하는데 대한 일반적 주저는 일부분 군 현실에 대한 이성적 염려 때문이다. 이곳 사람들은 아무도 김정일이 그가 새로이 개발한 핵을 사용하지 않고도 서울을 폭삭 무너뜨릴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를 못느낀다. 그리고 모든 건강한 젊은이들이 군대에서 2년을 보내야 하는 이 나라에서는 미국에서보다 ‘치킨호크(전쟁/국방 경험이 없으면서 전쟁 옹호하는 강경파 비꼬는 말)를 찾아보기가 훨씬 더 힘들다.
역사적,문화적 요소들 또한 작용한다. 단순히 한국전쟁에 대한 공통된 기억과 공포심을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1980년대 후반까지, 우파 정부는 종종 북한에 대한 두려움에 호소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압도적인 증거에도 불구하고 북한과 관련한 어떤 이야기도 믿지 않는다. 만약 이 대통령이 침몰에 대한 철저한 조사로 그 의심들을 잠재울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면, 그건 실수였다.
이 회의론을 평양지지론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엔 외국인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것보다 더 한, 북한에 대한 동정론이 있다. 1980년대 서독에서 대학생으로 있을 때, 동독에 대해 좋게 말하는 막시스트를 발견하기란 힘든 일이었다. 한국에서는 그러나 북한의 인권유린이, 더 우세한 민족주의적 신념으로 일상적으로 경시된다. 예를 들어, 김정일의 아버지 김일성이 도덕적으로 부패한 남한과는 달리 과거 친일파들을 제거했다는 잘못된 주장이 들리기도 한다.
평양에 대한 동정여론은 특히 만성적 불만을 품은 한반도 남서쪽에 퍼져 있다. 이곳의 농경지역으로서 식량원조품이 북한으로 보내져 생기는 수익 때문이 아니다. 이 지역 가장 큰 도시인 광주는 잔인한 정부의 민주화 운동가에 대한 대학살- 그 당시 많은 사람이 공식뉴스에서 북한 간첩으로 명예가 훼손된 - 30주년을 기념했다.
남한의 민족주의는 미국인들이 생각하는 애국주의와는 꽤 다르다. 한국에서는 대한민국이라는 정체성이 약한 반면, 한민족이라는 신분/동일성이 강하다. (김정일은 여기서 뚜렷한 이득을 취한다: 거의 주된 주장은 남북 국가를 한 민족으로 동일시하는 것인 듯 하다.)
게다가 남북 양 쪽의 한국인들은 세계 어느 사람들보다 사전에 계획된 악에 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화를 믿는 경향이 있다. 천안함의 침몰은 여기서는 두 한국 사이의 긴장으로 인한 거의 자발적인 부산물- 지나치게 일어나서는 안 될 유감스러운 일탈 - 쯤으로 여겨진다. 좌파에서는 최근의 긴장감 증가를 이 대통령이 전 대통령의 화해파적 햇볕정책을 거부한 때문인 것으로 몰아간다. 심지어 보수 언론마저 그 공격에 대해, 냉혈적 행동이라고 하지 않고 북한이 자백 인정해야 할 ‘error’ 라는 식으로 말한다. 내 수업을 듣은 학생들은 그 침몰을 “사고”로 간주하는 쪽이다.
북한에 이득을 주는 이 의심은 2002년 남한의 두 여학생이 주한미군의 탱크에 깔려 죽은 이후 일어난 대중들의 분노와는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이 분노는 양키들이 그 소녀들을 냉정하게 살해했다고 주장한 것이었다. 2008년 광우병 공포가 일던 때 미국 쇠고기 수입반대 거리시위가 있는 동안에는, 온통 child-poisoning 미국이라는 포스터가 붙었다. 두 반미감정을 최근 몇주 사이 서울에서 일어난 소수 호전적 수구세력의 반 평양 시위와 비교해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그러한 것들은 이 대통령이 북한의 최근 도발에 단호하고 통일된 반응을 만들어내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생긴 독특한 상황이다. 그는 해결의지와 통제를 적절히 수행하여 지금까지 훌륭히 해냈다. 미국대통령들이 외국 권력과의 투쟁을 개인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이 대통령은 김정일을 침몰에 대해 명백하게 비난하기를 삼갔다. 이것이 독재자 김정일이 체면을 지키며 사과를 발표하기가 더 쉽도록 해줄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이 전면전을 선포하는 순간, 오바마 정부는 남한 지도자를 따르는 것이 맞다. 한국의 민족주의가 그것의 구호를 오히려 방해하게 될 것임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워싱턴이 피해자보다 북한 처벌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 역효과가 날 것이다.
< 5월 27일 뉴욕타임즈 메인에 실린 사설 원문 >
http://www.nytimes.com/2010/05/28/opinion/28myers.html
p-Ed Contributor
South
Korea’s Collective Shrug
By B. R. MYERS
Published: May 27, 2010
ONE of the students at my university was killed in the attack that sank a South Korean naval vessel on March 26. A visual communications major, Mun Yeong-uk was only a few months from concluding his military service when a North Korean torpedo split the warship, the Cheonan, in half. His classmates loyally collected money for his family’s funeral expenses, but I was struck by how few people on our campus evinced any real anger toward the regime of Kim Jong-il.
This lack of indignation is mainstream here. Most people now accept North Korea’s responsibility for the sinking that killed Mr. Mun and 45 other sailors. A small but sizable minority suspect an elaborate government conspiracy of some sort. What almost all seem to share is the desire that South Korea put this unfortunate business behind it as soon as possible.
Support for military retaliation appears confined to those too old to fight. Even the rather mild measures that the South Korean president, Lee Myung-bak, announced on Monday — which included the drastic reduction of inter-Korean trade and resumption of the propaganda war along the demilitarized zone — have caused widespread hand-wringing.
The general reluctance to take the North Koreans to task can be partly attributed to a rational apprehension of the military realities. No one here needs to be reminded that Kim Jong-il could bomb Seoul flat even without using his new nuclear capacity. And in a country where all fit young men must spend two years in the military, “chicken hawks” are much harder to come by than in America.
But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are also at work. By this I do not mean only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its manifold horrors. Up until the late 1980s, right-wing governments resorted to North Korea scares so often that many people now refuse to believe any stories about the regime, no matter how overwhelming the evidence. If President Lee thought he could allay doubts with an especially thorough investigation into the sinking, he was mistaken. Left-wing newspapers now accuse him of postponing the announcement of the investigation’s results to exert maximum influence on next week’s regional elections.
It would be unfair to characterize these skeptics as pro-Pyongyang, but there is more sympathy for North Korea here than foreigners commonly realize. As a university student in West Berlin in the 1980s, I had a hard time finding even a Marxist with anything nice to say about East Germany. In South Korea, however, the North’s human rights abuses are routinely shrugged off with reference to its supposedly superior nationalist credentials. One often hears, for example, the mistaken claim that Mr. Kim’s father, Kim Il-sung, purged his republic of former Japanese collaborators, in alleged contrast to the morally tainted South.
Sympathy for Pyongyang is especially widespread in the peninsula’s chronically disgruntled southwest, and not just because this farming region profits whenever food aid is sent to the North. Gwangju, the largest city in the region, just commemorated the 30th anniversary of a brutal government massacre of civilian demonstrators, many of whom were defamed in the official news media of the time as North Korean agents.
South Korean nationalism is something quite different from the patriotism toward the state that Americans feel. Identification with the Korean race is strong, while that with the Republic of Korea is weak. (Kim Jong-il has a distinct advantage here: his subjects are more likely to equate their state with the race itself.) Thus few South Koreans feel personally affected by the torpedo attack.
Besides, Koreans in both the North and the South tend to cherish the myth that of all peoples in the world, they are the least inclined to premeditated evil. The sinking of the Cheonan is widely viewed here as an almost spontaneous byproduct of inter-Korean tension — a regrettable aberration that should not be made too much of. The left attributes the recent increase of tension to President Lee’s rejection of his predecessors’ accommodationist Sunshine Policy. Yet even the conservative news media talk of the attack in terms of an “error” that the North should own up to, not a cold-blooded act. Students in my classes tend to refer to the sinking as an “accident.”
This urge to give the North Koreans the benefit of the doubt is in marked contrast to the public fury that erupted after the killings of two South Korean schoolgirls by an American military vehicle in 2002; it was widely claimed that the Yankees murdered them callously. During the street protests against American beef imports in the wake of a mad cow disease scare in 2008, posters of a child-poisoning Uncle Sam were all the rage. It is illuminating to compare those two anti-American frenzies with the small and geriatric protests against Pyongyang that have taken place in Seoul in recent weeks.
Such are the unique circumstances under which President Lee has tried to marshal a firm and unified response to the North’s latest provocation. So far he has done an excellent job, conveying just the right mixture of resolve and restraint. Where American presidents tend to personalize conflict with foreign powers, Mr. Lee refrained from explicitly blaming Kim Jong-il for the sinking; this may make it a little easier for the dictator to issue an apology without losing face.
Even as the North threatens “all-out war,” the Obama administration would do well to emulate the South Korean leader. It should be mindful enough of Korean nationalism to hold back on its own rhetoric. It would be counterproductive if Washington were to look more interested in punishing North Korea than the injured party is.
'2. 방송이야기 > 방송가 뒷담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거 결과 - 본의 아닌 김제동 효과 기대 (0) | 2010.06.01 |
---|---|
KBS, 이건 아니지. (0) | 2010.05.31 |
비판이 용납되지 않는 사회, KOREA (1) | 2010.05.03 |
앵커는 방송에서 개인적 의견을 말할 수 있을까요 (0) | 2010.04.20 |
벤츠 SLS - 미하엘 슈마허 (0) | 2010.02.06 |